스킵네비게이션

2016년

글자크기 인쇄

경영체질 개선을 통한 수지향상

  1. 『부산광역시의료원운영시민감독위원회』 설치

    목적

    부산광역시에서 추진하는 시민중심의 책임시정 구현에 기여하고 의료원 운영의 투명성 및 청렴성 향상을 위함

    주요기능
    • 의료원 운영의 기본정책 및 경영개선활동
    • 시민보건향상을 위한 교육·연구·진료활동
    • 투명성과 청렴도 증진과 관련된 사항
    • 임대사업 등 중요한 계약사항
    • 기타 의료원 운영에 시민의 감독 및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구성

    19명이내(외부위원 15인, 내부위원 4인)

  2. 수입의 증대

    • 의사 결원과에 대한 전문의 보강으로 진료량 증대 도모
    • 의료부대시설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 퇴원예고제 활성화를 통한 수가누락방지
    • 권역 병·의원 협력관계 강화, 미수금 축소, 삭감률 감소 등
  3. 비용의 절감

    • 약품비 성분입찰 확대(2015년 : 11% ⇒ 2016년 : 15%)
    • 전 직원 대상 병원 운영상태 인식 및 예산 절감 유도
    • 예산 통제로 인한 정확한 예산 집행 유도
    • 사무용품 및 에너지 지속적인 절약, 잔반 없는 날 시행 등
  4.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 시행

    추진배경
    • 보호자 없는 병동 운영으로 정부의 정책 준수
    • 시민을 위한 필수 의료서비스 제공과 공공의료안전망 구축
    운영병상 : 20병상
    기대효과
    •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 병실환경 개선, 환자의 건강능력 향상
    • 간병 및 간병비 부담 경감 등 만족도 증가
  5. 직원 핵심역량 강화

    • 원내 정례직원교육 : 12회 2,500명
    • 내부역량강화를 위한 직무교육 : 40회 8,700명
    • 공공의료기관 법정·필수교육 위탁통신교육 : 2회 1,000명
    • 부산시 인재개발원, 지방공기업평가원 등 외부위탁교육 : 200명
    • 의사 및 간호사 보수교육 : 300명
  6. QI 활동강화

    추진개요

    수준 높은 의료 질 제공을 위한 QI활동 강화로 진료 표준화 및 효율성 도모

    추진내용
    • 주요 질환별 표준진료지침(CP) 정착화(CP프로그램 보완예정)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적정성평가 관련 임상 질 지표관리 강화
    • QI경진대회 등 적극적 활동을 통한 의료기관 인증체제유지
    • 지표 분석결과에 대한 부서장, 경영진, 직원과의 공유

병원특성화 및 진료환경의 적극 개선

  1. 심혈관센터 기능강화 사업

    • 사 업 비 : 1,820백만원(시설 600, 장비 1,220)
    • 기 간 : 2016. 1 ~ 2017. 9(연면적 439㎡)
    • 주요시설 : 심혈관촬영실, 운동부하 검사실, 심장초음파실 등
    • 주요장비 : 혈관촬영장치, 이동식 경흉부 초음파 등 4종 도입
    • 기대효과
      • 급성 심혈관계 질환 골든타임 사수로 부산시 건강 지표 개선에 기여
      • 심장질환의 예방과 시술 등 양질의 진료서비스 제공
      • 급성기 심장질환의 효율적 대처를 통한 응급의료체계 확립
  2. 진료환경개선(1층 리모델링)

    • 사 업 비 : 5,820백만원(연면적 5,500㎡)
    • 기 간 : 2016. 1 ~ 2017. 9
    • 주요내용 : 외래 진료과, 응급실, 영상의학과, 로비 등 개보수
    • 기대효과
      • 진료연계성 확보 및 환자 이동 동선 축소로 고객만족도 향상
      • 노후 시설 개보수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쾌적한 진료환경 조성
      • 고객중심의 공간적 변화로 친근한 병원이미지 구축
  3. 의료장비교체 및 신규구매

    • 노후장비 교체 : 골밀도 측정기 등 20종 62점(870백만원)
    • 심혈관센터 장비 : 심혈관촬영기 등 4종 4점(1,220백만원)
    • 재활센터 장비 : 종합운동기 등 74종 162점(1,920백만원)

공공의료의 중심병원 역할수행

  1. 공공의료서비스 추진 ▷ 32개 사업 214,800명

    • 효율적인 인력운영으로 인건비 절감(인력 재배치, 간호직 탄력 운영 등건강안전망 기능 수행 사업 : 11개 사업 144,870명
    •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 17개 사업 65,930명
    • 지역사회 보건교육 제공 : 4개 사업 4,000명)
  2. 3 for 1 통합지원센터 운영

    • 사업내용 :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역사회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 지원대상 : 경제적·사회적 취약계층, 사회적 소외계층, 복지사각계층
    • 네트워크기관 : 사회복지기관, 보건·의료기관, 지역공공기관
    • 2016년 사업비 : 500백만원
  3.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위탁운영

    운영방향
    • 부산시 공공보건의료 혁신을 위한 종합계획수립 및 보건의료 중점 사업의 지원
    • 부산시 공공보건의료 사업 지원 및 모니터링
    • 부산시 공공보건의료 인력 역량 강화 지원
    •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의 내부 연구 역량 제고와 운영의 내실화

    2016년 사업비 : 500백만원

소통하고 신뢰하는 병원문화 조성

  1. 시민만족 서비스 추진

    제안제도 적극 추진
    • 외래수납 영수증 및 원외처방전 동시 발급
    • 진료비 하이패스 실시
    통합공시(알리미) 운영
    • 경영목표와 실적, 예산결산, 인력현황 등 경영정보
    • 시민접근 용이를 위한 홈페이지 개선
    직장 어린이집 운영 활성화
    • 총정원(49명) 대비 46명 운영
    • 의료원 부담금 감소 : 2014년 대비 13백만원
    • 학기 중 결원 원아 발생시 수시 원아모집(직원자녀)
  2. 내실있는 홍보

    • 홈페이지 전면개편(보안강화와 재구축 사업 및 시스템 개선 등)
    • 신문 기고 및 칼럼 연재, TV 건강강좌 출연 권장
    • 야외 공연장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공연 개최
    • 부산시 및 유관기관의 협력을 통한 무상광고, 홍보매체 신규 발굴
    • 지하철 음성광고 실시(3호선, 종합운동장역)
  3. 내부결속 강화

    • 최고경영자와 직원 간 소통의 장 마련
    • 전 직종 구분 없는 동기문화(연수, 모임 등) 조성
    • ‘안티 스트레스 프로그램' 실시
    • ‘사랑의 건강계단’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