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3.0안내
글자크기
인쇄
정부 3.0 이란?
공공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공유하며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 소통하고 협력함으로써,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보운영 패러다임입니다.
방향
-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 정부·국민 간의 소통과 협력을 확대
- 국가보다 국민 개개인의 행복에 초점을 두어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민간의 창의와 활력이 증진되는 혁신 생태계 조성
- 부처 간 칸막이를 뛰어넘는 통합형 정부 운영 지향
- 정부가 직접 개입하지 않고, 민간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
정부 운영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
정부 운영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에 대한 정보로 구분, 정부 1.0, 정부 2.0, 정부 3.0 제공
| 구분 |
정부 1.0 |
정부 2.0 |
정부 3.0 |
| 운영 방향 |
정부 중심 |
국민 중심 |
국민 개개인 중심 |
| 핵심가치 |
효율성 |
민주성 |
확장된 민주성 |
| 참여 |
관 주도·동원 방식 |
제한된 공개·참여 |
능동적 공개·참여 개방·공유·소통·협력 |
| 행정 서비스 |
일방향 제공 |
양방향 제공 |
양방향·맞춤형 제공 |
| 수단(채널) |
직접방문 |
인터넷 무선 |
인터넷 스마트 모바일 |
정부 3.0의 비전과 중점 추진과제

정부 3.0의 비전과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정보로 소통하는 투명한 정부,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 제공
| 소통하는 투명한 정부 |
- 공공정보 적극 공개로 국민의 알 권리 충족
- 민·관 협치 강화
|
|
|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 |
- 정부 내 칸막이 해소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 구현
|
- 협업·소통 지원을 위한 정부 운영 시스템 개선
|
|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 |
-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통합 제공
- 정보 취약계층의 서비스 접근성 제고
|
- 창업 및 기업활동 원스톱 지원 강화
-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 창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