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글자크기
인쇄
기본현황
연혁
- 1876. 11 : 관립제생의원 창설 (고종 13년)
- 1914. 04 : 부산부립병원으로 개칭
- 1947. 07 : 부산시립병원으로 개칭
- 1982. 07 : 지방공사부산직할시의료원으로 발족
- 2001. 12 : 신축의료원 이전 및 진료개시 (연제구 연산동 → 거제동)
- 2006. 03 : 부산광역시의료원으로 개칭 (지방의료원법 제정)
주요기능
-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서 의료안전망의 역할 수행
- 수준 높은 진료를 통하여 시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 추구
- 지역주민의 공익진료, 전염병 관리 및 예방사업, 보건의료교육
- 국가에서는 필요하나 민간의료기관이 담당하기 곤란한 보건의료사업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보건 의료 시책수행
조직·기구
원장, 2처, 2실, 1본부, 4부, 1센터, 21진료과·25과(실) · 1연구소

2022년도 조직도 안내
- 원장
- 부산공공의료연구소
- 감사
- 제 위원회
- 청렴감사과
- 기획조정실
- 적정관리실
- 진료처
- 진료지원과
- 진료부
- 약제과
- 중앙공급실
- 진료지원부
- 수술/회복실
- 내과중환자실
- 외과중환자실
- 임상지원과
- 수련부
- 건강증진센터
- 행정처
인력현황
(2021. 12. 1 현재, 단위 : 명)
2021년도 인력에 대한 정보로 구분, 계, 임원, 의사직, 약사직, 간호직, 보건직, 행정직, 기술직, 기능직 제공
| 구분 |
계 |
임원 |
의사직 |
약사직 |
간호직 |
보건직 |
행정직 |
기술직 |
기능직 |
| 정원 |
680 |
2 |
61 |
11 |
351 |
92 |
47 |
16 |
100 |
| 현원 |
641 |
2 |
58 |
8 |
342 |
91 |
45 |
16 |
79 |
| 과부족 |
39 |
- |
3 |
3 |
9 |
1 |
2 |
- |
21 |
전공의(23명), 업무직(31명), 기간제 근로자(51명) 별도
부산시 예산지원 인력 24명, 코로나19 전담 인력(방역지원) 4명, 장애인스포츠선수 8명, 휴직대체인력 등
예산현황
(단위 : 백만원, %)
2021년도 예산현황에 대한 정보로 구분, 2021년도 추경, 2022년도, 증감(률) 제공
| 구분 |
2021년도 추경 |
2020년도 |
증감률 |
| 세입 |
계 |
93,177 |
104,311 |
11,134(11.9) |
| 의료수익 |
55,524 |
76,175 |
20,651(37.2) |
| 의료외수익 |
33,419 |
14,822 |
18,597( 55.6) |
| 자본적수입 |
4,234 |
13,314 |
9,080(214.5) |
| 세출 |
계 |
93,177 |
104,311 |
11,134(11.9) |
| 의료비용 |
78,173 |
81,099 |
2,926(3.7) |
| 의료외비용 |
5,477 |
5,156 |
321( 5.9) |
| 예비비 등 |
220 |
10,000 |
9,780(4,445.5) |
| 자본적지출 |
9,307 |
8,056 |
1,251( 13.4) |
시설·장비
- 대지면적 : 100,375㎡ / 연면적 : 50,504㎡(지하 2층, 지상 9층)
- 운영병상 : 548병상(감염 23병상, 간호·간병통합서비스 114병상(공익병상 61, 일반병상 53) 포함)
- 부대시설 : 장례식장, 외래객식당, 편의점, 의료용품점, 어린이집 등
- 전문센터 및 첨단 의료장비
- 건강증진·인공(신장,관절)·재활·소화기·심혈관·뇌혈관·장애인치과 등 9센터
- MRI 3.0T, 128ch CT, 심혈관촬영장치, 디지털X-ray 등 163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