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2018년

글자크기 인쇄

2018년 주요 업무계획

운영방향

  • 01효율적이고 투명한 병원운영으로 합리적인 경영 도모
  • 02병원의 특성화 및 의료 질 향상으로 시민의 신뢰도 제고
  • 03선진화된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으로 공공의료의 중심 구축
  • 04지속적인 시민과의 소통강화로 사랑과 감동을 실천

추진전략

  • 건전재정 및 조직경쟁력 강화
  •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 공공의료서비스 역할 수행
  • 대·내외 고객만족도 향상

환자진료 및 경영수지 목표

(단위 : 명, 백만원)

2018년도 환자진료 및 경영수지 목표에 대한 정보로 구분, 2017년(추정), 2018년, 증감 제공
구분 2017년(추정) 2018년 증 감
환자
진료
입원환자 163,482 170,828 7,346
외래환자 258,569 274,606 16,037
소계 422,051 445,434 23,383
경영
수지
의료
수지(A)
의료수익 55,674 58,868 3,194
의료비용 62,286 67,131 4,845
의료외
수지(B)
의료외수익 12,030 12,589 559
의료외비용 3,745 3,756 11
차감 1,673 570 상승 1,103

건전재정 및 조직경쟁력 강화

건전재정을 위한 노력
수입의 증대
  • 진료의욕 고취 및 신환자·2차 검진대상자 유치활동
  • 정부시책 준수에 따른 가산금 확보(신포괄수가제의 정보화평가 등)
  • 의료미수금의 적극적 회수, 삭감률 최소화(0.5%이하 유지) 등
인건비 절감
  • 명예퇴직 실시로 인건비 부담 완화
  • 장애인 의무고용 확대를 통한 고용부담금 절감
관리비 절감
  • 의료기기의 효율적 관리강화로 고장률 억제하여 수선비 절감
  • 지속적인 에너지 절감 노력
약품비 미지급금 기간 축소 : 7개월 ⇒ 6개월
직원 역량강화 및 청렴문화 확산
직원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 공공기관 인증 법정교육의 블렌디드러닝(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혼합교육) 확대 시행 : 최신과정 제공
  • 감염관리, 심폐소생 교육 등 의료기관 필수교육 시행
  • 경영상황 공유 및 정례교육 등 정책교육 실시
  • 현업부서의 직무교육 확대와 다양한 원외교육 기회 제공
  • 자기 주도적 상시 학습지원을 위한 외국어과정 사이버연수원 운영
청렴문화 확산
  • 청렴한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한 청렴특강 및 정기적 교육 실시
  • 청렴서약서 징구, 청렴관련 SMS발송, 청렴 서한문 발송 등
내용
  • 직종별 특성에 따라 충원 및 결원 인력에 대해 즉시 채용
  • 직무능력 중심의 블라인드 채용 실시로 우수인력 확보 및 공정성 확립
채용계획(안)

(단위 : 명)

채용계획(안)에 대한 정보로 구분, 계, 임원, 의사직, 약사직, 간호직, 보건직, 행정직, 기술직, 기능직 제공
구분 의사직 약사직 간호직 보건직 행정직 기술직 기능직
95 5 - 80 5 - - 5
기대효과
  •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사회 고용률 제고
업무효율성 증대
효율적인 재정운영
  • 예산집행 실적분석 및 결과반영을 통한 예산 합리적 운용
  • 예산 통제로 인한 정확한 예산 집행 유도
전산시스템 보강 및 프로그램 강화
  • 통합의료정보시스템 DB스토리지 보강으로 데이터저장공간 확보 및 속도개선으로 전산 시스템 안정화
  • 전자결재시스템 도입 및 통합의료정보시스템 회계업무 보완을 통한 업무 효율성 증대
소통과 상생을 통한 노사관계 개선
  • 소통을 통한 노사대화 노력 및 직원고충 처리
  • 지속적인 노사관계 안정, 동반자 의식고취로 대외경쟁력 제고
  • 12년 연속 무파업 달성을 통한 안정적 노사문화 조성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2주기 의료기관 인증 획득
추진배경
  • 의료기관 인증 지속관리 및 재인증 추진
  • 1주기 인증기간 (4년간, 2014.11. 6 ~ 2018.11. 5)
추진계획
  • 2주기 인증준비 TFT 구성 및 인증규정 개정
  • 직원 교육 및 모의 컨설팅 실시
  • 준비사항 모니터링 및 자체평가 등 재인증 현지평가 수검 준비
기대효과
  • 2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 재인증으로 공공의료기관의 위상정립
  • 의료의 질 및 환자안전 등 의료서비스 수준 향상
시설·장비 현대화
목 적
  • 노후 시설 보강으로 안정적인 시설 운영과 안전사고 예방, 고객만족도 증대 도모
  • 노후의료장비 교체 및 신규장비 보강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노후시설 보강 (2,600백만원, 국·시비 50:50)
  • 증기 보일러 교체 (417.4백만원)
  • 수술/중환자실용 UPS 교체 (578.4백만원)
  • 승강기 교체 (928.4백만원)
  • 통신설비 교체 (212백만원)
  • 주변 사면침하 및 옹벽 등 보수·보강 공사 (463.8백만원)
의료장비 교체 및 신규 장비 도입 (2,400백만원, 국·시비 50:50)
  • 디지털 투시 촬영기 등 25종 278점
심혈관센터 운영 강화
  • 주요시설 : 심혈관촬영실, 운동부하 검사실, 심장초음파실 등
  • 주요장비 : 혈관촬영장치, 이동식 경흉부 초음파 등 5종 도입
  • 급성 심혈관계 질환 골든타임 사수로 부산시 건강지표 개선에 기여
  • 심장질환의 예방과 시술 등 양질의 진료서비스 제공
환자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목적
  • 환자인식을 구두로 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소통 불가능한 상황 발생
  • 정확한 약물투여 및 수혈 시행 등으로 환자 안전성 확보
내용
  • 환자정보와 관련된 전자 태그식 환자인식 시스템 구축
  • 실시간 정보조회 및 병동 임상관찰 입력기능 구축
소요예산 : 200백만원(시비100)
기대효과
  • 정확한 환자 인식으로 환자안전사고 감소
  • 전자 태그식 환자인식 및 실시간 처방확인으로 간호업무의 효율화
병문안객 관리시스템 구축
목적
  • 메르스 확산이후 효과적인 병원 감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병문안 문화 개선의 필요성 대두
  • 효과적인 면회객 관리를 통한 병원 내 감염예방 시스템 구축
내용
  • 병동스크린 도어, 병동 카드인식 시스템, 엘리베이터 통제 시스템 설치
  • 병동 출입통제 및 이동 동선을 고려한 별도 면회객실 설치
소요예산 : 800백만원(시비100)
기대효과
  • 감염병 발생 시 실시간 방문객 통제 및 관리 기반 마련
  • 2차 감염 발생률 최소화로 안심하고 방문하는 진료환경 조성

공공의료서비스 역할 수행

건강안전망 제공 역할 강화 ▷ 12개 사업 146,320명
내용
  • 지역사회취약계층 주민 건강증진사업(산복도로 등)
  • 지역사회취약계층 환자 진료지원사업(의료급여, 행려, 노숙자 등)
  • 취약계층환자 의료비 지원사업(긴급복지, 불우환자 후원회 등)
기대효과
  • 취약계층 주민에 대한 양질의 보편적 의료이용 보장
  • 지역사회에 체계적인 보건의료복지 공급 기반 육성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 16개 사업 78,180명
내용
  • 지역주민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사업(시민건강체험터, 지역아동센터 등)
  • 필수의료서비스 제공(정신보건, 응급, 중환자, 완화, 감염병 등)
  • 지역사회자원연계(결핵환자관리사업, 심뇌혈관재발방지사업 등)
기대효과
  • 지역주민에 대한 차별 없는 필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기반 확충
지역사회 보건교육 제공 ▷ 4개 사업 5,200명
내용
  • 만성질환관리교육, 보건교육, 정신보건교육, 보건의료인력교육
기대효과
  • 건강의 보호·유지·증진을 위한 지역주민 인지도 향상
  • 보건의료인 근무기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공공의료 지역특화사업 운영 활성화
3for1 통합지원센터 운영
  • 보건·의료·복지와 연계된 공공보건의료 지원체계 확립
  • 2018년 지원목표 : 환자진료(550명), 지원금액(700백만원)
심뇌혈관질환 재발방지사업
  • 부산시의 열악한 건강지표 중 하나인 심뇌혈관질환 관리를 통한 시민건강관리 도모 및 건강지표 향상
  • 2018년 목표 : 1,400명(교육:390명, 전화상담:970명, 방문의뢰:40명)
지역거점공공병원 파견 의료인력 인건비 지원사업
목적
  • 지도전문의 확보를 통한 양질의 수련환경 확보
  • 국비지원으로 인건비 절감 및 경영수지 개선
신청인원 : 1명 /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전임의)
사업기간 : 2018. 1. 1 ~ 12.31
내용
  • 부산대학교병원 소속 파견 전문의 1년간 상시 근무체계 지속
  • 환자진료 및 검진(종합·일반), 전공의 수련, 공공진료활동 등
사업비 : 92백만원(국·시비 50:50)
공공보건프로그램 지원사업-병원 입퇴원환자 만성질환관리사업
내용
  • 입·퇴원 시 의료진이 시행하는 체계적인 만성질환 교육프로그램 제공
  •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보건소 연계 방문간호서비스 제공
소요예산 : 25백만원(국비100)
인 력 : 만성질환관리 센터장 1명(겸임), 전담간호사 1명
2018년 목표 : 900명(고혈압:300명, 당뇨:600명)

대·내외 고객 만족도 향상

외부 고객 만족도 제고
진료환경개선 1층 리모델링
  • 진료연계성 확보와 이동 동선 축소 및 쾌적한 진료환경 조성
고객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 초진환자의 접수부터 진료실, 검사실, 수납 절차까지 안내
  • - 고객지원센터를 통해 전원한 환자 Feedback 시행
시민감독위원회 의견수렴 및 참여 : 분기별 실시
시민의 알권리 충족 및 투명행정 실현 ▷ 경영공시 및 정보공개
  • 지방재정365, 지역거점공공병원 알리미, 의료원 홈페이지
고객만족도 설문조사 : 상·하반기(연 2회)
다양한 문화행사(공연, 전시회, 견학 등) 개최
내부 고객 만족도 제고
직원 만족도 및 청렴도 설문조사 : 연 1회 이상
경영진과 직원 간의 소통의 장 마련
  • 직장정례교육, 직원 간담회, 경영설명회 등
건전한 여가활동을 위한 각종 동호회 활동 지원
대·내외 홍보활동 강화
홍보 동영상 제작
  • 새로 도약하는 우리의료원의 영상 제작으로 이해와 신뢰기반 확보
병원 소식지 및 각종 인쇄물(리플렛, 현수막) 제작
통화연결음·홈페이지·소셜네트워크(SNS)·블로그를 활용한 홍보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 강화(신문기고, 칼럼연재, TV 건강강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