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글자크기
인쇄
2017년도 주요 업무성과
진료실적 및 경영성과
환자진료실적
(단위 : 명)
2017년도 환자진료실적에 대한 정보로 구분, 2016년도(A), 2017년도(B), 증감액(B-A), 증감율(%) 제공
| 구분 |
2016년도(A) |
2017년도(B) |
증감액(B-A) |
증감율(%) |
| 계 |
404,226 |
422,051 |
17,825 |
4.4 |
| 입원환자 |
149,783 |
163,482 |
13,699 |
9.1 |
| 외래환자 |
238,880 |
242,696 |
3,816 |
91.61 |
| 검진환자 |
15,563 |
15,873 |
310 |
2.0 |
경영성과(추정)
(단위 : 백만원)
2017년도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로 구분, 2016년도(A), 2017년도(B), 증감액(B-A), 증감율(%) 제공
| 구분 |
2016년도(A) |
2017년도(B) |
증감액(B-A) |
증감율(%) |
| 의료수익(A) |
51,194 |
46,714 |
4,480 |
8.8 |
| 의료비용(B) |
59,965 |
62,286 |
2,321 |
03.93 |
| 의료수지(C=A-B) |
8,771 |
6,612 |
2,159 |
24.6 |
| 의료외수익(D) |
13,893 |
12,030 |
1,863 |
13.4 |
| 의료외비용(E) |
4,506 |
3,745 |
761 |
16.9 |
| 의료외수지(F=D-E) |
9,387 |
8,285 |
1,102 |
11.7 |
| 경상수지(G=C+F) |
616 |
1,673 |
1,057 |
171.6 |
국고보조감가상각포함시 경상수지 |
3,542 |
2,543 |
999 |
28.2 |
주요 추진실적
공공재활센터 개소(개소식 : 2017. 3.10)
- 위 치 : 별관동 4~5층 2개층 증축(연면적 1,950㎡)
- 목 적 : 기존의 신경계 재활치료 영역에 심장호흡, 만성질환, 소아발달 및 뇌 병변 장애 치료지원 등의 차별화·전문화된 서비스 제공
- 주요시설 : 수치료실, 작업치료실, 재활기능 훈련실 등
- 주요장비 :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기 등 80종 187점
※ 전국 34개 의료원 중 최대시설, 부산지역 내 최고의 시설
인적자원 역량강화
- 원내 정례직원교육 : 11회 1,447명
- 내부역량강화를 위한 직무교육 : 1,683명
- 의료기관 법정·필수교육, 위탁통신교육 : 5,167명
- 공공, 청렴, 경영설명회 등 정책교육 : 831명
- 의사 및 간호사 등 보수교육 : 438명
- 산업안전보건 통신교육(신설) : 619명
- 외국어과정 사이버교육(신설) : 195명
비용절감 노력
- 고임금자에 대한 명예퇴직 추진
- 13명(간호직7, 보건직2, 기술직1, 기능직3)
- 명예퇴직금 지급률 축소를 통한 인건비 추가 절감
- 의약품 성분별 입찰 확대
- 구매원가 절감을 통한 재무상태 개선 및 입찰 공정성 강화
- 2016년도 12% ⇒ 2017년도 94%
퇴직연금제도 도입
선정결과
총 5개 사업자(은행2, 증권2, 보험1)
추진일정
- 2017. 12 : 의사직 퇴직연금 우선 가입 및 적립금 납입 완료
- 2018. 1~11 : 퇴직연금 운영위원회 구성을 통한 제도운영 논의
- 2018. 12 : 전 직원 퇴직연금 가입 및 적립금 납입
기대효과
- 근로자의 수급권 강화 및 세액공제 혜택 등을 통한 직원 만족도 향상
- 퇴직적립금의 손비 인정으로 세제감면 혜택 등 재무비율 개선
- 퇴직금 관리·지급의 외부이양을 통한 업무부담 경감 및 효율성 제고
공공의료서비스 역할 수행
공공의료서비스 역할 수행의 정보로 사업명, 추진실적 제공
| 사업명 |
추진실적 |
| 건강안전망 기능 수행 사업 |
11개 사업 151,449명 |
|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
17개 사업 74,814명 |
| 지역사회 보건교육 제공 |
4개 사업 5,321명 |
| 3for1 통합지원센터 운영 |
10개 구(군) ⇒ 16개 구(군) 환자진료(532명), 지원금액(362백만원) |
| 발달장애 치료지원센터 운영 |
운영실적 : 5,886건 |
| 심뇌혈관질환 재발방지사업 |
운영실적 : 1,444명 |
의료 질 향상 활동
- 폐렴·위암·슬관절치환술 적정성 평가【1등급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적정성 평가
- 응급의료평가【A등급】획득 (97.06점)
- 환자안전관리 강화
- 환자안전 주간행사 개최 : 2017. 9.18 ~ 9.22
- 부서별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질 향상 경진대회 개최(11월)
건강증진센터 활성화
- 부산지역 기관별 종합검진비 지원기관 발굴 및 유치
- 유치기관 : 47개 기관(공공기관30, 일반17)
- 종합검진 달성목표
- 연 3,360건, 검진수입 840백만원 목표
- 2017년 실적 [건수 : 4,211건(125.3%), 수입 : 1,135백만원(135.1%)]
일자리 창출
직종별 채용현황
(2017년 12월말 현재)
직종별 채용현황에 대한 정보로 구분, 계, 임원, 의사직, 약사직, 간호직, 보건직, 행정직, 기술직, 기능직 제공
| 구분 |
계 |
의사직 |
약사직 |
간호직 |
보건직 |
행정직 |
기술직 |
기능직 |
| 계 |
144 |
12 |
2 |
75 |
20 |
2 |
1 |
32 |
| 정규직 |
84 |
12 |
- |
72 |
- |
- |
- |
- |
| 계약직 |
60 |
- |
2 |
3 |
20 |
2 |
1 |
32 |
2016년도 92명 대비 56% 증가
취업보호대상자 고용실적
(2017년 12월말 현재)
취업보호대상자 고용실적에 대한 정보로 구분, 장애인근로자, 고령자, 보훈가족 제공
| 구분 |
장애인근로자 |
고령자 |
보훈가족 |
| 채용실적 |
6명 |
12명 |
4명 |
| 고용비율 |
3.1% |
8.0% |
3.0% |
2016년 장애인 고용비율 : 2.4%
기타
- 로고송 제작 : 안내방송멘트, 유무선 통화 연결음 사용
- 3for1사업 KNN방송 프로그램 제작, 국제복지재활 시니어 전시회 참여
- 소통과 상생을 위한 노사대화 노력 및 교섭합의
- 11년 연속 무파업 목표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