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글자크기
인쇄
2017년 주요 업무계획
운영방향
- 01효율성 중심의 내실 있는 조직 운영으로 안정적 경영기반 구축
- 02다양한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으로 함께 누리는 공공의료 실현
- 03특성화사업의 원활한 추진으로 수준 높은 의료 환경 제공
- 04내·외부 고객과의 소통강화를 통한 시민감동 실천
추진전략
- 경영효율화 및 재정건전성 확보
- 공공의료서비스의 활성화 도모
- 병원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우위
- 소통경영으로 내·외부 만족도 향상
환자진료 및 경영수지 목표
(단위 : 명, 백만원)
2017년도 환자진료 및 경영수지 목표에 대한 정보로 구분, 2016년, 2017년, 증감액 제공
| 구분 |
2016년 |
2017년 |
증감액 |
환자 진료 |
입원환자 |
149,783 |
165,810 |
16,027 |
| 외래환자 |
254,443 |
262,285 |
7,842 |
| 소계 |
404,226 |
428,095 |
23,869 |
경영 수지 |
의료 수지 |
의료수익 |
51,193 |
52,861 |
1,668 |
| 의료비용 |
59,965 |
61,763 |
1,798 |
의료외 수지 |
의료외수익 |
13,893 |
13,255 |
638 |
| 의료외비용 |
4,505 |
4,637 |
132 |
| 소계(A-B) |
616 |
284 |
768 |
1. 경영효율화 및 재정건전성 확보
진료성과 증대
- 진료 인센티브 확대로 진료활성화 도모
- 진료의욕 고취 및 우수의료진 확보
- 의료미수금의 적극적 회수로 자금 유동성 확보
- 입원환자의 철저한 관리, 중간납부금 징수(주1회)
- 미수금 발생 시 전화연락, 통지문 발송, 방문 등을 통한 회수
- 신환자 · 2차 검진대상자 유치활동
- 삭감률 최소화로 수입 누수방지 ⇒ 0.5% 이하 유지
의료비용 절감
인건비
- 명예퇴직금 지급률 축소를 통한 명예퇴직 추진
- 연차휴가 의무사용 권장으로 연가보상비 절감
약품비
- 성분별 입찰 확대 : 현행 12% ⇒ 65% 이상
관리비
- 간호간병통합 서비스병동 확대로 외주용역비 절감
- 의료기기 정밀점검 확대 실시로 고장률 감소
조직 및 인사관리 강화
- 실·과장이상 간부직원 보직임기제 도입
- 우수인재의 고른 등용과 책임 경영제 실천
- 보직연한 2년, 연임가능
- 장애인,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 채용확대로 부담금 축소
- 우수인력 지속 확보를 위한 이직률 감소 노력
경영의 투명성 및 청렴도 제고
- 예산 및 회계관리의 투명성
- 병원 경영상태 설명 및 재정상태 공시로 경영의 투명성 확보
- 예산관리지침 제정·시행
- 예산집행 실적분석 및 결과반영을 통한 예산 합리적 운용
- 예산집행 시 사전심사 및 통제로 체계적 예산절감 실시
- 청렴의식 제고
- 전 직원 청렴서약서 징구, 설문조사, 청렴관련 SMS 발송 등
- 정기적인 청렴교육 및 외부강의 실시
직원교육 지속
- 원내 정례직원교육 : 10회 1,500명
- 내부역량강화를 위한 직무교육 : 28회 1,680명
- 공공의료기관 법정·필수교육 및 위탁통신교육 : 26회 4,050명
- 부산시 인재개발원, 지방공기업평가원 등 외부위탁교육 : 100명
- 의사 및 간호사 보수교육 : 300명
QI 및 감염관리 강화
- QI활동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적정성 평가 상위등급 유지 및 획득 노력
- 주요 질환별 표준진료지침(CP) 개발 및 적용
- 환자안전교육 및 안전의 날 개최 등으로 활동강화
- 감염활동
- 국가지정 음압입원치료병상 확충완료로 격리병동 상시 운영
- 감염관리 주간행사, 손 위생 모니터링 등 병원내 감염발생 예방 및 관리
2. 공공의료서비스의 활성화 도모
보건의료서비스 지속 추진 ▷ 32개 사업 216,150명
- 건강안전망 기능 수행 사업 : 12개 사업 146,470명
- 산복도로, 의료취약계층, 노숙인, 장애인 등
-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 16개 사업 64,880명
- 지역아동센터, 정신건강캠페인, 시민건강체험터 등
- 지역사회 보건교육 제공 : 4개 사업 4,800명
- 만성질환관리, 지역주민 보건교육, 정신보건교육 등
공공의료 사업 운영
- 3 for 1 통합지원센터
- 사업구역 확대 : 10개 구(군) ⇒ 16개 구(군)
- 2017년 지원목표 : 환자진료(250명), 지원금액(200백만원)
- 발달장애 치료지원센터
- 지원대상 : 발달 및 뇌병변장애 발생초기 아동
- 2017년 치료목표 : 4,400명
3. 병원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우위
심혈관 기능강화 사업
- 사 업 비 : 1,820백만원(시설600, 장비1,220, 국·시비 50:50)
- 사업기간 : 2016. 1 ~ 2017. 12
- 주요시설 : 심혈관촬영실, 운동부하 검사실, 심장초음파실 등
- 주요장비 : 혈관촬영장치, 이동식 경흉부 초음파 등 4종 도입
- 기대효과
- 급성 심혈관계 질환 골든타임 사수로 부산시 건강 지표 개선에 기여
- 심장질환의 예방과 시술 등 양질의 진료서비스 제공
- 급성기 심장질환의 효율적 대처를 통한 응급의료체계 확립
진료환경개선 1층 리모델링
- 사 업 비 : 5,820백만원(국·시비 50:50)
- 사업기간 : 2016. 1 ~ 2017. 12
- 주요시설 : 외래 진료과, 응급실, 현관 로비 등 전면 개·보수
- 주요장비 : 혈관촬영장치, 이동식 경흉부 초음파 등 4종 도입
- 기대효과
- 료연계성 확보 및 환자 이동 동선 축소로 고객만족도 향상
- 노후 시설 개보수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쾌적한 진료환경 조성
- 응급실 시설개선과 확충으로 수준 높은 응급의료서비스 제공
의료장비 신규 구매
심혈관센터 장비 : 심혈관 촬영기 1종(990백만원)
4. 소통경영 활성화로 만족도 향상
시민감동 서비스 추진
- 시민감독위원회 개최 : 분기별 실시
- 고객만족도 조사 : 상·하반기 실시
- 전 직원대상 맞춤형 친절교육 진행
- 고객 접점부서에 대한 전화모니터링 실시
- 알리미 운영 : 경영현황, 예산 및 결산, 인력운영상황 등 공시
시민밀착형 홍보
- 홍보 동영상 및 로고송 제작
- 영상 및 멜로디를 통한 홍보활동으로 호감도 상승 및 인지도 향상
- 소셜네트워크(SNS) 및 블로그를 활용한 홍보
- 병원소개, 질병정보 등 고객친화 소통채널 개설
- 건강정보 제공
- 보건소와 연계한 건강강좌 확대(우울증, 갱년기 강좌 등)
- 다양한 힐링프로그램 제공
- 음악회 전시회, 연주회 등 각종 공연 유치
소통하는 직장문화 조성
- 직원간 소통의 장 마련
- 병원발전 워크샵, 브레인스토밍, 한마음 체육대회 개최 등
- 건전한 여가활동 지원
- 동호회 지원, 「가족 사랑의 날」적극 활용 독려
- 가족 친화적 근무환경 제공
- 출산 및 육아휴직 장려, 직장 어린이집 이용 권장
- 상생적 노사관계 조성
- 정기적 노사협의회 개최 및 노사간담회 수시개최로 무파업 달성